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인포그래픽
/* Custom font for better Korean display */
body {
font-family: 'Inter', sans-serif;
background-color: #f8f8f8; /* Light background */
color: #333;
}
/* Custom styles for infographic elements */
.card {
background-color: #ffffff;
border-radius: 1rem; /* Rounded corners */
box-shadow: 0 4px 12px rgba(0, 0, 0, 0.08); /* Subtle shadow */
padding: 1.5rem;
margin-bottom: 1.5rem;
}
.section-title {
font-size: 1.75rem; /* text-3xl */
font-weight: 700; /* font-bold */
color: #3b82f6; /* Blue color for titles */
margin-bottom: 1.5rem;
text-align: center;
}
.subsection-title {
font-size: 1.25rem; /* text-xl */
font-weight: 600; /* font-semibold */
color: #1f2937; /* Darker gray */
margin-bottom: 1rem;
border-bottom: 2px solid #e5e7eb; /* Light border */
padding-bottom: 0.5rem;
}
.data-point {
display: flex;
justify-content: space-between;
align-items: center;
padding: 0.5rem 0;
border-bottom: 1px dashed #e5e7eb;
}
.data-point:last-child {
border-bottom: none;
}
.data-label {
font-weight: 500;
color: #4b5563;
}
.data-value {
font-weight: 700;
color: #1f2937;
}
.percentage-change {
font-size: 0.875rem; /* text-sm */
font-weight: 600;
margin-left: 0.5rem;
}
.increase {
color: #22c55e; /* Green for increase */
}
.decrease {
color: #ef4444; /* Red for decrease */
}
.neutral {
color: #6b7280; /* Gray for neutral */
}
/* Chart simulation styles */
.chart-bar-container {
display: flex;
align-items: flex-end;
height: 100px; /* Fixed height for bars */
gap: 0.5rem;
margin-top: 1rem;
margin-bottom: 1rem;
}
.chart-bar {
background-color: #60a5fa; /* Blue bar color */
width: calc(100% / 5 - 0.4rem); /* For 5 bars */
border-radius: 0.25rem 0.25rem 0 0;
position: relative;
display: flex;
flex-direction: column;
justify-content: flex-end;
align-items: center;
transition: height 0.5s ease-out;
}
.chart-bar-label {
position: absolute;
top: -1.5rem;
font-size: 0.75rem; /* text-xs */
color: #4b5563;
white-space: nowrap;
}
.chart-bar-value {
position: absolute;
bottom: -1.2rem;
font-size: 0.75rem; /* text-xs */
color: #1f2937;
font-weight: 600;
white-space: nowrap;
}
.chart-legend {
display: flex;
justify-content: space-around;
font-size: 0.875rem; /* text-sm */
margin-top: 1rem;
color: #4b5563;
}
.chart-legend-item {
display: flex;
align-items: center;
}
.chart-legend-color {
width: 12px;
height: 12px;
border-radius: 50%;
margin-right: 0.5rem;
}
🥚 2020-2024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📊
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1. 계란 기본 상식 🥚
계란 중량 규격
왕란: 68g 이상
특란: 60g 이상 ~ 68g 미만
대란: 52g 이상 ~ 60g 미만
※ 중량은 규격별로 8g 단위로 차이
시중 판매 계란
10개들이: 주로 특란 (최소 600g 이상)
15개들이: 주로 대란 (최소 780g 이상)
크기와 맛/품질
크기가 작고 주령대가 높지 않은 계란이 껍데기가 단단하고 점도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선함이 더합니다.
알이 크다고 품질이나 맛이 더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.
쌍란
노른자가 두 개인 계란으로, 암탉 난소에서 난포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.
2. 산란계 사육 동향 🐓
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(만 마리)
2020
7,354
2021
6,783
2022
7,339
2023
7,555
2024(p)
7,900
2024년(p) 7,900만 마리 (2023년 대비 4.6% 증가)
산란계 사육 가구수 (가구)
2020년
947
2021년
895
2022년
942
2023년
943
2024년(p)
951 (▲ 0.9%)
가구당 사육 마릿수 (마리/가구)
2020년
77,676
2021년
75,820
2022년
77,921
2023년
80,000
2024년(p)
83,000 (▲ 3.6%)
3. 계란 생산 및 소비 동향 📈
국내 계란 생산량 (천 톤)
2020년
722.3
2021년
684.9
2022년
706.9
2023년
741.7
2024년(p)
776.7 (▲ 4.7%)
1일 평균 계란 생산량 (만 개)
2020년
4,612
2021년
4,199
2022년
4,492
2023년
4,697
2024년(p)
4,929 (▲ 4.7%)
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(kg)
2020년
13.9
2021년
14.0
2022년
13.8
2023년
14.4
2024년(p)
15.2 (▲ 5.4%)
계란 가공품 수입 동향
수입량 (톤)
2020년
4,506
2021년 (급증)
37,051
2022년
7,036
2023년
4,450
2024년(p)
9,376 (▲ 110.7%)
총 수입 금액 (천 달러)
2020년
17,624
2021년 (급증)
124,028
2022년
33,942
2023년
31,874
2024년(p)
33,535 (▲ 5.2%)
※ 신선란은 2024년 1월 미국산 70톤 수입 외 추가 수입 없음.
4. 계란 가격 동향 💲
평균 계란 산지가격 (원/특란 10개)
2020년
1,106
2021년
1,797
2022년
1,636
2023년
1,613
2024년(p)
1,636 (▲ 1.4%)
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재고 확보, 설 성수기 수요, 여름철 폭염 등
평균 계란 소비자가격 (원/특란 10개)
2020년
1,794
2021년
2,316
2022년
2,210
2023년
2,164
2024년(p)
2,186 (▲ 1.0%)
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대형마트 할인 행사, 여름철 이후 산지가격 변동 등
5.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(HPAI) 영향 🚨
2023/24년 HPAI 발생 (2023.12.3.~2024.5.23.)
총 농장 발생: 32건 (산란계 농장 15건)
총 살처분 마릿수: 363만 마리 (산란계 275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3.6%)
2024/25년 HPAI 발생 (2024.10.29.~2025.1.14.)
총 농장 발생: 25건 (산란계 농장 10건)
총 살처분 마릿수: 184만 마리 (산란계 112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1.4%)
종합: 2024/25년 HPAI는 이전 시즌에 비해 발생 건수와 살처분 규모가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최근 3년간 주요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 중 산란계가 평균 61.7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
6. 소비자 계란 소비 패턴 (2024년 기준) 🛒
가정 내 계란 소비 변화
늘었다:
46.5%
변화 없음:
50.2%
줄었다:
3.3%
소비 증가 이유: 손쉽게 구입/요리 (49.4%), 단백질 등 영양 풍부 (43.0%)
계란 구입 시 고려 요인
신선도: 28.4%
판단 기준: 유통기한/산란일자 (36.2%), 냉장유통 (24.5%), 외관상태 (22.0%)
가격: 24.8%
정부 인증마크: 15.3%
안전성 기준: 무항생제 (32.6%), 동물복지 (23.0%), HACCP (22.7%)
계란 주요 구입 경로
대형마트: 50.5%
SSM: 29.0%
온라인: 10.7% (2023년 9.2%에서 증가)
산란일자 표시제 영향:
2024년 계란 구입 시 산란일자를 확인하는 소비자 비중 73.6% (전년 대비 증가).
시행 이후 계란 안전성 신뢰도 66.0%로 긍정적.
HPAI 발생 이후 계란 소비 변화 (2024년 10월 이후):
변화 없음: 85.0% (국산 가금산물 안전성 신뢰 70.4%)
소비 감소 이유: HPAI 안전성 우려 (69.8%), 가격 상승 (15.1%)
7. 2025년 계란 수급 전망 🔮
주요 지표 전망
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
7,751만 마리 (▼ 1.9%)
1일 평균 계란 생산량
4,972만 개 (▲ 0.9%)
평균 계란 산지가격
1,625원 (▼ 0.7%)
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
15.4 kg
산란계 사육면적 조정 영향
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되는 사육면적 조정
(0.05㎡/마리 → 0.075㎡/마리)으로 인해,
총 사육 마릿수 및 계란 생산량은 감소한 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💡 핵심 요약:
사육 면적 확대는 장기적으로 동물 복지 향상과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지만, 단기적으로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자료 출처: 2024 농식품부 주요 통계,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 농업전망
2025.07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