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icon

      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
      2025.07.15
     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인포그래픽

      🥚 2020-2024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📊

      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
      1. 계란 기본 상식 🥚

      계란 중량 규격

      • 왕란: 68g 이상
      • 특란: 60g 이상 ~ 68g 미만
      • 대란: 52g 이상 ~ 60g 미만
      • ※ 중량은 규격별로 8g 단위로 차이

      시중 판매 계란

      • 10개들이: 주로 특란 (최소 600g 이상)
      • 15개들이: 주로 대란 (최소 780g 이상)

      크기와 맛/품질

      크기가 작고 주령대가 높지 않은 계란이 껍데기가 단단하고 점도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선함이 더합니다. 알이 크다고 품질이나 맛이 더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.

      쌍란

      노른자가 두 개인 계란으로, 암탉 난소에서 난포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.

      2. 산란계 사육 동향 🐓

     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(만 마리)

      2020 7,354
      2021 6,783
      2022 7,339
      2023 7,555
      2024(p) 7,900

      2024년(p) 7,900만 마리 (2023년 대비 4.6% 증가)

      산란계 사육 가구수 (가구)

      2020년 947
      2021년 895
      2022년 942
      2023년 943
      2024년(p) 951 (▲ 0.9%)

      가구당 사육 마릿수 (마리/가구)

      2020년 77,676
      2021년 75,820
      2022년 77,921
      2023년 80,000
      2024년(p) 83,000 (▲ 3.6%)

      3. 계란 생산 및 소비 동향 📈

      국내 계란 생산량 (천 톤)

      2020년 722.3
      2021년 684.9
      2022년 706.9
      2023년 741.7
      2024년(p) 776.7 (▲ 4.7%)

      1일 평균 계란 생산량 (만 개)

      2020년 4,612
      2021년 4,199
      2022년 4,492
      2023년 4,697
      2024년(p) 4,929 (▲ 4.7%)

      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(kg)

      2020년 13.9
      2021년 14.0
      2022년 13.8
      2023년 14.4
      2024년(p) 15.2 (▲ 5.4%)

      계란 가공품 수입 동향

      수입량 (톤)

      2020년 4,506
      2021년 (급증) 37,051
      2022년 7,036
      2023년 4,450
      2024년(p) 9,376 (▲ 110.7%)

      총 수입 금액 (천 달러)

      2020년 17,624
      2021년 (급증) 124,028
      2022년 33,942
      2023년 31,874
      2024년(p) 33,535 (▲ 5.2%)

      ※ 신선란은 2024년 1월 미국산 70톤 수입 외 추가 수입 없음.

      4. 계란 가격 동향 💲

      평균 계란 산지가격 (원/특란 10개)

      2020년 1,106
      2021년 1,797
      2022년 1,636
      2023년 1,613
      2024년(p) 1,636 (▲ 1.4%)

      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재고 확보, 설 성수기 수요, 여름철 폭염 등

      평균 계란 소비자가격 (원/특란 10개)

      2020년 1,794
      2021년 2,316
      2022년 2,210
      2023년 2,164
      2024년(p) 2,186 (▲ 1.0%)

      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대형마트 할인 행사, 여름철 이후 산지가격 변동 등

      5.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(HPAI) 영향 🚨

      2023/24년 HPAI 발생 (2023.12.3.~2024.5.23.)

      • 총 농장 발생: 32건 (산란계 농장 15건)
      • 총 살처분 마릿수: 363만 마리 (산란계 275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3.6%)

      2024/25년 HPAI 발생 (2024.10.29.~2025.1.14.)

      • 총 농장 발생: 25건 (산란계 농장 10건)
      • 총 살처분 마릿수: 184만 마리 (산란계 112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1.4%)

      종합: 2024/25년 HPAI는 이전 시즌에 비해 발생 건수와 살처분 규모가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      최근 3년간 주요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 중 산란계가 평균 61.7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

      6. 소비자 계란 소비 패턴 (2024년 기준) 🛒

      가정 내 계란 소비 변화

      늘었다:
      46.5%
      변화 없음:
      50.2%
      줄었다:
      3.3%

      소비 증가 이유: 손쉽게 구입/요리 (49.4%), 단백질 등 영양 풍부 (43.0%)

      계란 구입 시 고려 요인

      • 신선도: 28.4%
        • 판단 기준: 유통기한/산란일자 (36.2%), 냉장유통 (24.5%), 외관상태 (22.0%)
      • 가격: 24.8%
      • 정부 인증마크: 15.3%
        • 안전성 기준: 무항생제 (32.6%), 동물복지 (23.0%), HACCP (22.7%)

      계란 주요 구입 경로

      • 대형마트: 50.5%
      • SSM: 29.0%
      • 온라인: 10.7% (2023년 9.2%에서 증가)

      산란일자 표시제 영향:
      2024년 계란 구입 시 산란일자를 확인하는 소비자 비중 73.6% (전년 대비 증가). 시행 이후 계란 안전성 신뢰도 66.0%로 긍정적.

      HPAI 발생 이후 계란 소비 변화 (2024년 10월 이후):
      변화 없음: 85.0% (국산 가금산물 안전성 신뢰 70.4%)
      소비 감소 이유: HPAI 안전성 우려 (69.8%), 가격 상승 (15.1%)

      7. 2025년 계란 수급 전망 🔮

      주요 지표 전망

      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7,751만 마리 (▼ 1.9%)
      1일 평균 계란 생산량 4,972만 개 (▲ 0.9%)
      평균 계란 산지가격 1,625원 (▼ 0.7%)
      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15.4 kg

      산란계 사육면적 조정 영향

      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되는 사육면적 조정 (0.05㎡/마리 → 0.075㎡/마리)으로 인해, 총 사육 마릿수 및 계란 생산량은 감소한 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
      💡 핵심 요약:

      사육 면적 확대는 장기적으로 동물 복지 향상과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지만, 단기적으로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       

       

      자료 출처: 2024 농식품부 주요 통계,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 농업전망

      NEWS
      뉴스룸 바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