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2025.07.15🥚 2020-2024 계란 통계 및 2025년 전망 📊
대한민국 계란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!
1. 계란 기본 상식 🥚
계란 중량 규격
- 왕란: 68g 이상
- 특란: 60g 이상 ~ 68g 미만
- 대란: 52g 이상 ~ 60g 미만
- ※ 중량은 규격별로 8g 단위로 차이
시중 판매 계란
- 10개들이: 주로 특란 (최소 600g 이상)
- 15개들이: 주로 대란 (최소 780g 이상)
크기와 맛/품질
크기가 작고 주령대가 높지 않은 계란이 껍데기가 단단하고 점도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신선함이 더합니다. 알이 크다고 품질이나 맛이 더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.
쌍란
노른자가 두 개인 계란으로, 암탉 난소에서 난포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.
2. 산란계 사육 동향 🐓
평균 산란계 사육 마릿수 (만 마리)
2024년(p) 7,900만 마리 (2023년 대비 4.6% 증가)
산란계 사육 가구수 (가구)
가구당 사육 마릿수 (마리/가구)
3. 계란 생산 및 소비 동향 📈
국내 계란 생산량 (천 톤)
1일 평균 계란 생산량 (만 개)
1인당 계란 소비가능량 (kg)
계란 가공품 수입 동향
수입량 (톤)
총 수입 금액 (천 달러)
※ 신선란은 2024년 1월 미국산 70톤 수입 외 추가 수입 없음.
4. 계란 가격 동향 💲
평균 계란 산지가격 (원/특란 10개)
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재고 확보, 설 성수기 수요, 여름철 폭염 등
평균 계란 소비자가격 (원/특란 10개)
※ 가격 변동 요인: 연초 대형마트 할인 행사, 여름철 이후 산지가격 변동 등
5.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(HPAI) 영향 🚨
2023/24년 HPAI 발생 (2023.12.3.~2024.5.23.)
- 총 농장 발생: 32건 (산란계 농장 15건)
- 총 살처분 마릿수: 363만 마리 (산란계 275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3.6%)
2024/25년 HPAI 발생 (2024.10.29.~2025.1.14.)
- 총 농장 발생: 25건 (산란계 농장 10건)
- 총 살처분 마릿수: 184만 마리 (산란계 112만 마리, 산란계 사육 마릿수의 1.4%)
종합: 2024/25년 HPAI는 이전 시즌에 비해 발생 건수와 살처분 규모가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최근 3년간 주요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 중 산란계가 평균 61.7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
6. 소비자 계란 소비 패턴 (2024년 기준) 🛒
가정 내 계란 소비 변화
소비 증가 이유: 손쉽게 구입/요리 (49.4%), 단백질 등 영양 풍부 (43.0%)
계란 구입 시 고려 요인
- 신선도: 28.4%
- 판단 기준: 유통기한/산란일자 (36.2%), 냉장유통 (24.5%), 외관상태 (22.0%)
- 가격: 24.8%
- 정부 인증마크: 15.3%
- 안전성 기준: 무항생제 (32.6%), 동물복지 (23.0%), HACCP (22.7%)
계란 주요 구입 경로
- 대형마트: 50.5%
- SSM: 29.0%
- 온라인: 10.7% (2023년 9.2%에서 증가)
산란일자 표시제 영향:
2024년 계란 구입 시 산란일자를 확인하는 소비자 비중 73.6% (전년 대비 증가).
시행 이후 계란 안전성 신뢰도 66.0%로 긍정적.
HPAI 발생 이후 계란 소비 변화 (2024년 10월 이후):
변화 없음: 85.0% (국산 가금산물 안전성 신뢰 70.4%)
소비 감소 이유: HPAI 안전성 우려 (69.8%), 가격 상승 (15.1%)
7. 2025년 계란 수급 전망 🔮
주요 지표 전망
산란계 사육면적 조정 영향
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되는 사육면적 조정 (0.05㎡/마리 → 0.075㎡/마리)으로 인해, 총 사육 마릿수 및 계란 생산량은 감소한 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💡 핵심 요약:
사육 면적 확대는 장기적으로 동물 복지 향상과 지속 가능한 생산을 목표로 하지만, 단기적으로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