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?
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?
2020-2024 과일 시장 통계로 본 소비 트렌드와 미래 전망
📊 전체 과일 시장 핵심 요약 (2020-2024)
재배면적 감소 추세 지속
2024년 주요 과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0.6% 감소한 10만 8,900ha로 추정됩니다. 중장기적으로는 2034년까지 연평균 0.8%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연도 | 재배면적 (ha) |
---|---|
2020 | 110,000 |
2021 | 109,800 |
2022 | 109,500 |
2023 | 109,200 |
2024 | 108,900 |
2034 (전망) | 100,000 |
생산량 증감과 기후 영향
2024년 주요 과일 생산량은 전년 대비 2.6% 증가한 169만 톤으로 추정되나, 여름철 고온 및 잦은 강우 등 기상 악화가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.
2024년은 관측 이래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되기도 했습니다.
연도 | 생산량 (만 톤) |
---|---|
2020 | 165 |
2021 | 170 |
2022 | 160 |
2023 | 164.7 |
2024 | 169 |
물가 상승 압력 지속
농축수산물 소비자 물가지수는 2020년 100.0에서 2024년 11월 기준 119.0으로 지속 상승했습니다. 특히 2024년 3월에는 사과 가격 88.2% 폭등, 배 가격 87.8% 폭등하며 '금사과', '금배'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
연도/기간 | 물가지수 (2020=100) |
---|---|
2020 | 100.0 |
2021 | 105.5 |
2022 | 110.2 |
2023 | 115.0 |
2024.11 | 119.0 |
수입량 증가로 수급 조절
국내 과일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할당관세가 시행되면서 신선 과일 수입이 증가하여, 2024년 11월까지 신선 과일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.5% 증가한 72만 5천 톤을 기록했습니다.
기간 | 수입량 (천 톤) |
---|---|
2023 (추정) | 611.8 |
2024.11 | 725 |
🏆 한국인이 가장 즐겨 찾는 과일 TOP 10 (2024년 1인당 소비량 기준)
순위 | 과일명 | 2024년 1인당 소비량 전망치 (kg/인) |
---|---|---|
1위 | 감귤 | 10.9 |
2위 | 사과 | 8.9 |
3위 | 수박 | 8.5 |
4위 | 토마토 | 5.9 |
5위 | 포도 | 4.2 |
6위 | 참외 | 4.1 |
7위 | 복숭아 | 3.7 |
8위 | 딸기 | 3.2 |
9위 | 배 | 3.1 |
10위 | 단감 | 1.8 |
📈 주요 과일별 생산 및 시장 동향 (2020-2024)
사과
생산량: 2020년 42.2만 톤 → 2024년 46만 톤 (2023년 대비 16.6% 증가). (2020년과 2023년 기상 악화로 생산량 크게 감소.)
가격: 2024년 3월 88.2% 폭등하며 '금사과' 논란. 2024년산(7~12월) 가격은 전년 대비 13.2% 하락한 3,897원/kg.
전망: 2025년 생산량은 48만 톤으로 4.3% 증가할 것으로 예상.
배
생산량: 2020년 13.3만 톤 → 2024년 17.8만 톤 (여름철 폭염 등으로 2023년 대비 2.9% 감소).
가격: 2023년산 저장 배 가격은 2024년 1~7월 전년 동기 대비 185.0% 급등.
전망: 2025년 생산량은 21만 5천 톤으로 회복될 전망.
감귤
생산량: 2020년 65.9만 톤 → 2024년 56.9만 톤 (열과 피해 등으로 2023년 대비 6.3% 감소).
특징: 수익성이 높은 시설 재배면적 비중이 2024년에 29.6%로 상승.
전망: 2025년 생산량은 61만 톤으로 7.1% 증가할 것으로 예상.
복숭아
생산량: 2020년 18.9만 톤 → 2024년 19만 톤 (착과수 증가 및 병해충 감소로 2023년 대비 3.9% 증가).
가격: 2024년 복숭아 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19.5% 하락.
포도
생산량: 2020년 16.6만 톤 → 2024년 19.9만 톤 (성목면적 증가로 2023년 대비 1.6% 증가).
특징: 샤인머스캣 재배면적의 급증으로 포도 재배면적은 2023년에 1만 4,706ha까지 회복.
가격: 2024년 샤인머스캣 가격은 전년 대비 25.5% 하락한 4,124원/kg.
딸기
생산량: 2020년 16.36만 톤 → 2024년 14.99만 톤 (육묘 생육 부진 등으로 2023년 대비 6.0% 감소).
가격: 2023/24년 딸기 가격은 전년 대비 7.5% 상승한 9,539원/kg.
특징: 스마트팜 딸기는 2024년 롯데마트 딸기 매출의 7%를 차지하며 안정적 생산에 기여.
수박
생산량: 2020년 46.65만 톤 → 2024년 43.99만 톤 (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2023년 대비 5.4% 감소).
가격: 2024년 수박 가격은 전년 대비 6.4% 하락한 1,665원/kg.
참외
생산량: 2020년 14.89만 톤 → 2024년 21.27만 톤 (단수 증가 등으로 2023년 대비 2.0% 증가).
가격: 2024년 참외 가격은 전년 대비 6.1% 하락한 2,751원/kg.
🌍 수입 과일 시장 동향 (2020-2024)
수입량 급증
국내 과일 생산량 감소에 대응하여 할당관세가 적용되면서 2024년 11월까지 신선 과일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.5% 증가한 72만 5천 톤을 기록했습니다.
기간 | 수입량 (천 톤) |
---|---|
2023 (추정) | 611.8 |
2024.11 | 725 |
부류별 수입 비중 (2024년 11월까지)
전체 수입 과일의 부류별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:
부류 | 비중 (%) | 수입량 (천 톤) | 주요 품목 |
---|---|---|---|
열대과일 | 67.5% | 489 | 바나나(37만 톤), 파인애플(7.5만 톤), 망고(3.4만 톤) |
감귤류 | 18.9% | 137 | 오렌지(9.5만 톤), 레몬(2.7만 톤), 자몽(1.5만 톤) |
온대과일 | 13.6% | 99 | 키위(5만 톤), 블루베리(4천 톤) |
💡 과일 소비 트렌드 변화 및 미래 대응 (2020-2024)
소비자 구매 요인 변화
과일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여전히 '맛' (2023년 41.8%)이지만, '가격' (2023년 19.6%)의 중요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.
구매 요인 | 비중 (2023년) |
---|---|
맛 | 41.8% |
가격 | 19.6% |
기타 | 38.6% |
'가성비' 제품 선호 증가
롯데마트 과일 매출에서 B등급 과일의 매출이 전년 대비 43.9% 급증하며 '가성비' 상품에 대한 수요가 커졌습니다.
B등급 과일 매출
+43.9%
신품종 및 스마트팜의 역할 확대
- 신품종 과일 품목 수: 2020년 50개 → 2024년 101개 (2배 이상 증가)
- 스마트팜 딸기: 2024년 롯데마트 딸기 매출의 7% 차지 (안정적 생산 기여)
신품종 증가
스마트팜
기후변화 대응 노력
스마트팜 도입 확대
기후변화 강한 품종 개발
고품질 재배 농법 (타이벡)
AI 선별 기술
친환경/저탄소 재배
산지 이동 (내륙 만감류)
자료 출처: 2024 농식품부 주요 통계,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 농업전망
하림그룹이 제작한 콘텐츠는 미디어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콘텐츠 사용 시에는 하림그룹 뉴스룸으로 출처를 표기 부탁드립니다.
-
-
TAG
- #하림그룹
-
-
-
본문 텍스트
- 텍스트 복사하기
-